목차
한스바이오메드(042520)는 인체이식용 피부와 뼈 이식재 및 시리콘 제품 등의 사업을 하는 바이오주식으로 200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2000년 전까지 수입에 의존하던 인체 동종피부를 KAIST와 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으로, 국내 최초의 무세포진피조직인 슈어덤을 생산한다.
국내 연결대상 종속법인으로 의료용품 관련 국내 및 해외법인인 HansBiomed USA, Inc, Shanghai Hansbiomed Corp, (주)한스파마, (주)비엔에스메드, 한스케어(주), HansBiomed (Thailand) Co.,Ltd. 등을 보유하고 있다.
한스바이오메드는 시가총액 2213억원의 바이오 주식으로, PER은 54.84배, PBR은 3.36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0.45%이다.
황호찬외 3인이 25.06%의 지분율로 최대주주에 등록되어 있고, 외국인투자자 지분율도 약 16.08%에 달한다.
한스바이오메드 주가 일봉차트를 확인해보면 8월초 증시 반등과 함께 추세선을 타고 상승하던 주가가 20000 초반대 매물대 저항에 막히며 단기 추세선을 이탈했다.
이후 하락 파동을 보이다가 최근 다시 20000 초반대를 딛고 반등에 성공하고 있지만, 거래량이 살아나지 않으면서 쉽게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한스바이오메드는 현재 차트상 위로 단기 매물 부담이 조금은 남아 있기 때문에, 현재의 거래량 보다 크게 늘어야 위의 매물 부담을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스바이오메드를 단기적으로 대응한다면 손절라인은 매물대 하단인 21500 부근으로 설정해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스바이오메드 주식 주봉차트를 보면 지난해 초 고점을 형성한 이후로 파동을 그리며 점차 저점을 낮추어오다가, 지난 7월 중장기 추세선을 이탈하면서 강한 투매 물량이 한 차례 나왔다.
이후 증시 반등과 함께 서서히 반등하다가 최근 다시 하락 파동을 확인하고 주봉차트상 쌍바닥이 만들어지기는 했는데, 아래로 매물대 지지라인이 약해, 리스크가 있는 자리이다.
현재가 위로 중장기 매물 부담은 약하고, 24000 부근부터 저항이 강해지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대응한다면 이를 목표가로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장기적으로 대응할 때 체크해야 할 손절라인은 지난 2017년 초부터 이어져오는 장기 추세선이 위치한 17200 부근이다.
중장기 대응하고자 한다면, 일봉차트상 잡아놓은 손절라인 이탈시 추가진입할 수 있는 여력이 있어야하며, 추가진입은 19000 부근 아래에서 유효하다.
추가진입 이후에도 주가가 하락해 2017년부터 이어져오는 장기 추세선까지 이탈한다면 투자심리가 더 크게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부근 이탈은 유의해야 한다.
최근 바이오주가 순환매 되면서 시세가 나오고 있는 와중에, 한스바이오메드는 기존 제품의 매출 증가와 신제품 판매 호조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어, 주가 전망은 비교적 밝은 편이다.